728x90
상수와 리터럴
- 상수란 무엇인가?
- 리터럴이란 무엇인가?
상수란 무엇인가?
상수는 변하지 않는 값으로 변수와는 다른 성질을 가지고 있습니다. 상수를 선언할 때는 final을 이용합니다. 상수를 사용하는 이유는 코드를 작성하다 보면 실수로 값이 바뀔 수 있는데 그러한 일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final int PI = 3.14;
위와 같이 변수를 선언하는 방식과 비슷하지만 앞에 final을 붙여서 PI라는 값을 3.14로 고정시켜줍니다.
final int MAX_NUM = 50;
MAX_NUM = 40;
위의 예시와 같이 MAX_NUM을 50으로 선언을 하고 40으로 고치려고 작성을 하면 오류가 납니다.
리터럴이란 무엇인가?
프로그램에서 사용하는 모든 숫자, 문자, 논리 값들을 리터럴이라고 부릅니다. 리터럴에 해당되는 값들은 특정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데 그 공간을 상수 풀이라고 부릅니다. 상수 풀에 저장된 정수들은 int 형으로 저장되어 있고 실수는 double 형으로 저장되어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long 형을 쓸 때 L을 적어주고 float 형을 쓸 때 F를 적어서 double 형과 int 형이 아니란 것을 알려주어야 합니다.
int a=10;
long b=20L;
double c=30;
float d=40F;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