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건문 if, else if, else 이해하기
- 조건문 if, else if, else란?
- 간단히 설명하기
- 순서도(플로우 차트)
- 예시
조건문 if, else if, else란?
if는 프로그램을 돌리는 중에 조건에 따라 처리를 하기 위하여 사용한다. if를 사용하는 경우 항상 조건이 따라와야 하므로 if(조건)의 형태로 작성을 한다.
else는 if의 조건이 아닌 경우 실행할 내용이 있는 경우 사용한다. if()는 꼭 사용하여야 하나 if()를 사용한다고 else도 꼭 와야 하는 것은 아니다
else if는 따져야 하는 조건이 여러 가지인 경우 if()와 else사이에 오게 되며 else if에도 if가 있기 때문에 조건을 ()에 넣어주어야 한다.
if, else if, else를 이용하여 조건에 따라 실행할 문장은 {} 안에 작성을 한다.
if(조건 1) {
내용1
}else if(조건2){
내용2
}else {
내용3
}
1. 처음 확인할 조건을 if의 ()에 넣어준다.
2-1. 조건 1이 참이면 내용 1을 실행하고 나머지 else if와 else는 무시한다.
2-2. 조건 1이 거짓이면 else if의 조건 2를 확인한다.
3-1. 조건 2가 참이면 내용 2를 실행하고 나머지 else는 무시한다.
3-2. 조건 2가 거짓이면 다음 else의 내용 3을 실행한다.
간단히 설명하기
// if는 "이 맞아?"라는 표현
if(조건 1) {
실행할 내용1
}
// else와 if둘을 합친 else if이므로 "위가 아니면 이게 맞아?"
else if(조건2){
실행할 내용2
}
// else는 "위에 것들이 아니면 이거 해"
else {
실행할 내용3
}
if는 "조건이 맞는지 확인해 맞으면 내용을 실행해"이다.
else는 "위에 조건들이 아니면 내용 3을 실행해"
else if는 위의 두 개가 합쳐졌으므로 "위의 조건들이 아니면 조건 2가 맞는지 확인해 맞으면 내용을 실행해"가 된다.
순서도(플로우 차트)
예시
let a=2;
if(a==1){
console.log("안녕");
}else if(a==2){
console.log("안녕하세요");
}else if(a==3){
console.log("안녕히계세요");
}else{
console.log("내일 뵙겠습니다);
}
a라는 변수의 값을 2로 주었습니다.
if의 조건인 a==1이 맞으면 console.log("안녕");을 실행합니다.
a는 2이므로 조건이 거짓이라 if를 넘어갑니다.
else if의 조건인 a==2를 확인합니다.
조건이 참이므로 log에 "안녕하세요"가 출력되고 아래의 else if와 else는 생략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