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록체인 공부

    [Solidity]솔리디티의 자료형

    [Solidity]솔리디티의 자료형

    Solidity 언어는 스마트 계약에 최적화된 자료형을 지원합니다. 첫 시간에는 자료형의 종류와 용도 등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Solidity의 자료형 정수형 참, 거짓형 나열형 문자열 자료형 주소 정수형 (int, uint) 정수형의 경우 흔히 프로그래밍 언어에서 사용하는 정수형 int가 있고 int와 달리 부호가 존재하지 않는 정수형인 uint가 있습니다. int uint int를 먼저 설명드리자면 Solidity에서 int는 int256을 의미합니다. 자료형 뒤에 숫자는 메모리 영역 내에 크기를 나타내며 int8, int16, int24, int32, int 64, int128, int256등이 있습니다. uint의 경우도 마찬가지로 uint는 uint256을 의미하고 uint8, uint16,..

    [Solidity] 스마트 계약을 위한 솔리디티 (DApp은 무엇인가?)

    [Solidity] 스마트 계약을 위한 솔리디티 (DApp은 무엇인가?)

    스마트 계약 이해하기 스마트 계약 스마트 계약은 어디에 사용이 될까? 스마트 계약을 하기 위한 Solidity DApp은 무엇인가? 1. 스마트 계약 스마트 계약은 Solidity라는 프로그래밍 언어로 작성이 되기에 이더리움 네트워크 내에서 진행되는 계약입니다. 말 그대로 계약이기에 작성된 코드의 조건이 맞으면 코드의 내용이 진행하는 것입니다. 자판기를 예시로 든다면 자판기에 돈을 넣는 것을 이더를 확보하는 것으로 볼 수 있고 원하는 상품의 버튼을 누르는 것을 자신이 이용하고자 하는 스마트 계약 체결 버튼을 누르는 것으로 비교할 수 있습니다. 자판기 내부 시스템이 스마트 계약의 코딩 내용으로 비교가 되며 조건이 맞으면 상품이 출구로 나오듯 스마트 계약이 진행되어 원하는 자료, 계약 결과 혹은 보상을 얻게..

    [BlockChain] 비트코인과 이더리움의 차이 (이더리움 이해하기)

    [BlockChain] 비트코인과 이더리움의 차이 (이더리움 이해하기)

    이더리움 이해하기 솔리디티(Solidity)라는 언어를 배우기 전에 솔리디티(Solidity)를 사용하는 이더리움과 이더리움의 기반인 블록체인 기술에 대하여 먼저 알아보고자 첫 글을 준비하게 되었습니다. 저도 아직 공부를 하며 정리하는 내용이다 보니 오류가 있을 수 있고 글이 매끄럽지 못한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투자를 권장드리는 글이 아니며 앞으로의 미래기술이 될 수도 있는 블록체인과 솔리디티(Solidity) 언어 공부 내용입니다. 그럼 시작하겠습니다. 1. 블록체인이란 무엇인가? 간단히 설명한다면 완전 분산형 P2P(peer to peer) 소프트웨어 네트워크로써 암호화를 사용하여 안전하게 호스팅하고 저장하며 금전적 가치를 디지털적으로 전송하는 수단입니다. 여기서 금전적 가치는 비트코인 혹은 이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