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더리움 이해하기
솔리디티(Solidity)라는 언어를 배우기 전에 솔리디티(Solidity)를 사용하는 이더리움과 이더리움의 기반인 블록체인 기술에 대하여 먼저 알아보고자 첫 글을 준비하게 되었습니다. 저도 아직 공부를 하며 정리하는 내용이다 보니 오류가 있을 수 있고 글이 매끄럽지 못한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투자를 권장드리는 글이 아니며 앞으로의 미래기술이 될 수도 있는 블록체인과 솔리디티(Solidity) 언어 공부 내용입니다. 그럼 시작하겠습니다.
1. 블록체인이란 무엇인가?
간단히 설명한다면 완전 분산형 P2P(peer to peer) 소프트웨어 네트워크로써 암호화를 사용하여 안전하게 호스팅하고 저장하며 금전적 가치를 디지털적으로 전송하는 수단입니다. 여기서 금전적 가치는 비트코인 혹은 이더 등 많은 토큰이 담당합니다.
블록체인이라는 이름을 가진 이유는 위에서 말씀드린 완전 분산형 P2P 소프트웨어 네트워크 내에서 정보들이 저장되는 방식이 블록단위로 저장이 되고 그러한 블록들이 네트워크를 이용하는 사용자(피어 혹은 노드) 모두에게 정보를 저장하여 블록이 사슬과 같은 구조를 이루어 지어진 이름입니다.
2. 이더리움이란?
블록체인의 종류로서 하나의 네트워크입니다. 이더(Ether)라는 금전적 가치를 가질 수 있는 토큰을 유통하는 네트워크입니다. 이더리움은 네트워크로써 사용자끼리 메신저를 주고받을 수 있으며 현재 사용하는 인터넷 방식과 흡사합니다. 차이점은 현재 이용하는 인터넷 시스템은 기업에서 서버를 관리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반면 이더리움 네트워크는 탈중앙화 된 시스템으로 중앙 서버를 두지 않고 서로 간의 메신저 등을 주고받을 수 있는 환경입니다.
3. 이더란 무엇인가?
앞서 말씀드린 바와 같이 금전적 가치를 가질 수 있는 토큰입니다. 이더리움 네트워크를 이용하게 되면서 발생하는 비용의 화폐 단위입니다. 이더의 송금 혹은 스마트 계약에 따른 금액 지불을 예시로 들 수 있습니다. 이더를 얻는 방법은 블록체인 내의 블록들을 정리하고 확인한 채굴자들이 보상으로 받을 수 있습니다. 제가 이해한 이더를 게임으로 예시를 들게 된다면 게임에서 사냥을 통하여 얻은 돈이 이더가 되고 사냥을 하는 과정이 채굴 즉 블록을 정리하고 확인하는 과정이 됩니다. 게임 내 유저 간 아이템 거래를 스마트 계약과 비유를 할 수 있으며 아이템은 NFT로 예를 들 수 있으며 게임 내의 재화가 이더라고 비유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4. 비트코인과 이더리움은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비트코인과 이더리움의 가장 큰 차이점은 '이더리움 내부에는 프로그래밍 언어를 내장할 수 있다.'입니다. 위에서 언급된 스마트 계약이 이더리움 내부에 프로그래밍 언어를 통하여 계약서를 작성한 내용입니다. 이더리움에 스마트 계약은 이더의 활용도를 단순히 사용자 간의 송금 시스템이 아닌 계약을 통한 거래가 가능하도록 합니다. 스마트 계약을 작성하는 프로그래밍 언어가 솔리디티(Solidity)입니다.
위의 내용을 제외하고도 다양한 용어와 기능들이 있지만 이번 장에서는 이 정도로 마무리를 하고 정리가 되는대로 다음 정보를 가지고 오도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무지개 곰의 생각 : 블록체인 기술은 옛날 컴퓨터가 처음 나왔을 때 도스 창을 이용하였듯 아직 도스 창 단계로 보이며 앞으로 VR기기를 통한 메타버스가 될 수도 있고 어떠한 기기가 될지 모르겠지만 그러한 미래기술의 첫걸음이 되는 단계라고 생각합니다. 암호화폐가 정식 화폐가 될지 단순히 트래픽을 확인하기 위한 도구로 사용될지 모르겠지만 블록체인 기술은 괜찮은 기술이 될 것이라고 생각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