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지개 곰
무지개곰의 성장이야기
무지개 곰
250x250
  • 분류 전체보기
    • 블록체인 공부
      • BlockChain
      • Ethereum
    • IT공부
      • Java
      • JavaScript
      • HTML + CSS
      • React
      • 프로그래머스 (TypeScript)
    • 독서
    • 영어 공부
      • 1일 1 작문
      • 영어 짧은 글
    • 홍보
hELLO · Designed By 정상우.
무지개 곰
IT공부/JavaScript

[JS] switch와 case 이해하기

[JS] switch와 case 이해하기
IT공부/JavaScript

[JS] switch와 case 이해하기

2022. 9. 8. 09:49
728x90

switch와 case 이해하기

  • switch와 case란?
  • 순서도(플로우 차트)
  • 예시

switch와 case란?

switch는 확인할 변수를 () 안에 넣고 변수가 어떠한 값을 가진 지 확인하고 그에 따라 실행할 내용을 선택하는 말 그대로 스위치 하는 기능이다. 

case는 switch의 () 안에 있는 변수의 값이 case의 값이 라면 case의 내용을 실행한다. 실행할 내용은 {} 안에 적을 필요 없고 실행할 내용이 여러 가지라면 ;을 이용하여 구분하여준다.

switch(변수){
    case 1 :
    	내용1;
    	break;
    case "가" :
    	내용2;
    	break;
    case 'a' :
    	내용3;
        내용4;
    	break;
    default:
    	내용5;
}

1. 변수 값을 확인한다.

2. case에 따른 값이 맞는지 비교한다.

3-1. 변수의 값이 1이라면 내용 1을 실행 후 break를 만나 switch문을 끝낸다.

3-2. 변수의 값이 "가"라면 내용 2를 실행 후 break를 만나 switch문을 끝낸다.

3-3. 변수의 값이 'a'라면 내용 3과 내용 4를 실행 후 break를 만나 switch문을 끝낸다.

3-4. 변수의 값이 case 중에 없으면 내용 5를 실행한다.


순서도 (플로우 차트)

switch case 순서도 (플로우 차트)


예시

let 변수=='a'
switch(변수){
    case 1 :
    	console.log("내용1 : 변수의 값이 1이라면 이게 찍혀요.");
    	break;
    case "안녕" :
    	console.log("내용2 : 변수의 값이 안녕이라면 이게 찍혀요.");
        break;
    case 'a' :
    	console.log("내용3 : 변수의 값이 a이라면 이게 찍혀요.");
        break;
    case "한글" :
    	console.log("내용4 : 변수의 값이 한글이라면 이게 찍혀요.");
        console.log("내용5 : break가 없으니 case 'b' 의 내용도 찍혀요.")
    case 'b' :
    	console.log("내용6 : 변수의 값이 1이라면 이게 찍혀요.");
        break;
    case "안녕하세요" :
    	console.log("내용7 : 변수의 값이 안녕하세요라면 이게 찍혀요.");
        break;
    default:
    	console.log(내용8 : "위의 case 값이 변수와 같은 것이 없으면 이게 찍혀요");
    
}

변수에 값을 'a'라고 정합니다.

변수의 값 'a'가 어떠한 케이스와 맞는지 확인합니다.

첫 번째 case의 값은 1이므로  변수의 값과 달라 내용 1을 실행하지 않습니다.

두 번째 case의 값은 "안녕"이므로  변수의 값과 달라 내용 2를 실행하지 않습니다.

세 번째 case의 값은 'a'이므로 변수의 값과 같아 내용 3을 실행하고 break를 만나기 때문에 switch문을 종료합니다.

 

결과 : 내용 3 : 변수의 값이 a이라면 이게 찍혀요.

 

*만약 변수의 값이 "한글"이었다면 네 번째 case의 내용인 내용 4와 내용 5를 실행하고 break가 없으므로 다섯 번째 case의 내용까지 넘어가서 실행합니다. 그러고 다섯 번째 case의 break를 만나 switch문을 종료합니다.

 

결과 : 

내용 4 : 변수의 값이 한글이라면 이게 찍혀요.

내용 5 : break가 없으니 case 'b'의 내용도 찍혀요.

내용 6 : 변수의 값이 1이라면 이게 찍혀요.

 

if, else if, else 이해하러 가기

 

728x90
저작자표시 비영리 변경금지 (새창열림)
  • switch와 case 이해하기
  • switch와 case란?
  • 순서도 (플로우 차트)
  • 예시
'IT공부/JavaScript' 카테고리의 다른 글
  • [JS] 반복문 do while 이해하기
  • [JS] 반복문 while 이해하기
  • [JS] 반복문 for 이해하기
  • [JS] 조건문 (if, else if, if) 이해하기
무지개 곰
무지개 곰
java solidity react javascript등 프로그래밍 공부 기록

티스토리툴바

단축키

내 블로그

내 블로그 - 관리자 홈 전환
Q
Q
새 글 쓰기
W
W

블로그 게시글

글 수정 (권한 있는 경우)
E
E
댓글 영역으로 이동
C
C

모든 영역

이 페이지의 URL 복사
S
S
맨 위로 이동
T
T
티스토리 홈 이동
H
H
단축키 안내
Shift + /
⇧ +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