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공부
![[JS] switch와 case 이해하기](https://img1.daumcdn.net/thumb/R75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2Fc8oH99%2FbtrLFHtCmhb%2FYJWMKL4Kz74vbTeMVyjNZk%2Fimg.jpg)
[JS] switch와 case 이해하기
switch와 case 이해하기 switch와 case란? 순서도(플로우 차트) 예시 switch와 case란? switch는 확인할 변수를 () 안에 넣고 변수가 어떠한 값을 가진 지 확인하고 그에 따라 실행할 내용을 선택하는 말 그대로 스위치 하는 기능이다. case는 switch의 () 안에 있는 변수의 값이 case의 값이 라면 case의 내용을 실행한다. 실행할 내용은 {} 안에 적을 필요 없고 실행할 내용이 여러 가지라면 ;을 이용하여 구분하여준다. switch(변수){ case 1 : 내용1; break; case "가" : 내용2; break; case 'a' : 내용3; 내용4; break; default: 내용5; } 1. 변수 값을 확인한다. 2. case에 따른 값이 맞는지 비교한다..
![[JS] 조건문 (if, else if, if) 이해하기](https://img1.daumcdn.net/thumb/R75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2FbuHhS1%2FbtrLDDemVbF%2FgtjGjXwCpkDlinpVbaXJbk%2Fimg.jpg)
[JS] 조건문 (if, else if, if) 이해하기
조건문 if, else if, else 이해하기 조건문 if, else if, else란? 간단히 설명하기 순서도(플로우 차트) 예시 조건문 if, else if, else란? if는 프로그램을 돌리는 중에 조건에 따라 처리를 하기 위하여 사용한다. if를 사용하는 경우 항상 조건이 따라와야 하므로 if(조건)의 형태로 작성을 한다. else는 if의 조건이 아닌 경우 실행할 내용이 있는 경우 사용한다. if()는 꼭 사용하여야 하나 if()를 사용한다고 else도 꼭 와야 하는 것은 아니다 else if는 따져야 하는 조건이 여러 가지인 경우 if()와 else사이에 오게 되며 else if에도 if가 있기 때문에 조건을 ()에 넣어주어야 한다. if, else if, else를 이용하여 조건에 따라 ..
![[Java] Java의 Stack과 Queue 이해하기 (deque)](https://img1.daumcdn.net/thumb/R75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2FbyHqc7%2FbtrHhcFqHNh%2FAKMToqbH7Ez4xcsO0blv0k%2Fimg.jpg)
[Java] Java의 Stack과 Queue 이해하기 (deque)
Stack과 Queue 이해하기 Stack이란? Queue란? Deque란? Stack이란? Stakc은 클래스의 한 종류이며 책을 쌓아 올리는 것처럼 자료를 쌓아 올리는 구조입니다. 이러한 방식을 LIFO이라고 표현하기도 합니다. Last In First Out의 첫 글자를 딴 것으로 자료를 꺼낼 때 최근에 입력한 것부터 꺼내지는 것을 의미합니다. push() 주어진 객체를 스택에 넣습니다. peek() 남아있는 객채 중 가장 최근에 저장한 객채를 불러옵니다. pop() 남아있는 객채 중 가장 최근의 객체를 불러오고 스택에서 제거합니다. 주로 사용하는 메서드는 위의 3가지입니다. peek의 경우는 제일 위에 쌓인 자료가 무엇인지 확인을 하기 위한 메서드이고 pop의 경우는 제일 위의 자료를 가져오며 스..
![[Java] Java의 제네릭 이해하기](https://img1.daumcdn.net/thumb/R75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2FbdamZr%2FbtrG7YULOLL%2FpXLlqYKdYHEOAVdrgt3yk1%2Fimg.jpg)
[Java] Java의 제네릭 이해하기
제네릭 이해하기 제네릭이란? 멀티 타입 파라미터 제네릭 메서드란? 제네릭이란? 자료형을 파라미터화 하여 컴파일시에 구체적인 타입이 결정되도록 하는 기능입니다. 제네릭을 사용하면 컴파일시 타입체크가 가능하여 실행시 자료형 에러가 발생하는 상황을 사전에 방지하고 컴파일시에 미리 타입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public class Car { private T t; public void setter(T t){ this.t=t; } public T getter(){ return t; } } 위의 예시에서 Car라는 클래스를 만드는 경우 클래스 내에서 어떠한 자료형을 사용할지 설정하지 않고 Car옆에 를 적어주게 되는데 이러한 표현이 제네릭입니다. T는 자료형을 아직 결정하지 않은 상태이고 개발코드를 작성시 T대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