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JS] 배열의 메서드 filter 이해하기](https://img1.daumcdn.net/thumb/R75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2Fbn7cQU%2FbtrLNqle01Q%2FBWb3sjRBzt5VBul9DRkX80%2Fimg.jpg)
[JS] 배열의 메서드 filter 이해하기
filter 이해하기 filter란? 순서도(플로우 차트) 예시 filter란? filter는 영어 뜻처럼 걸러내는 작업을 해주는 메서드입니다. 예를 들어 배열에 많은 요소가 있는데 '김'이라는 글자를 가지고 있는 요소를 찾고 싶다면 filter를 통하여 걸러내어 '김'이라는 글자를 가진 요소만 골라서 반환해줍니다. 배열 명.filter((매개변수) => { 실행할 내용; return 조건; }); 1. 배열의 첫 번째 요소를 매개변수로 입력해줍니다. 2. 실행할 내용을 실행합니다. 3. 조건이 참이면 현재 배열의 요소를 저장합니다. 4. 배열의 다음 요소를 매개변수로 입력합니다. 5. 배열의 다음 요소가 없을 때까지 2~4를 반복합니다. 6. 배열의 다음 요소가 없다면 저장한 요소들을 배열로 반환합니다..
![[영어 공부] comfort를 이용한 영어 작문 (안락)](https://img1.daumcdn.net/thumb/R75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2FrGAVb%2FbtrLlFI8MSp%2FEp8pAkOcwA6xvndojuOQP1%2Fimg.webp)
[영어 공부] comfort를 이용한 영어 작문 (안락)
'모든 안락에는 대가가 따르기 마련인 것이다.'를 영어로 작문한다면?! 책 '누가 내 치즈를 옮겼을까?' 중에서. 번역기 : Every comfort comes with a price. 작문 : All of the relieves follow the result. comfort를 '안락'이라는 뜻으로 사용하였습니다. '대가'라는 표현이 한국말로는 참 쉬운데 영어에서는 이렇다 할 표현이 없는 것 같습니다. 저는 작문을 할 때 result로 결과가 따른다는 표현을 하였지만 번역기에서는 '비용이 따른다.'라고 표현하였습니다. '따른다.'라는 표현도 follow가 아닌 come with을 사용하여 '함께 온다.'라는 표현이 '따른다.'라는 표현이 된 것 같습니다. 많은 표현을 기억하여 필요한 순간에 알맞은 표현..
![[JS] 배열의 메서드 findIndex 이해하기](https://img1.daumcdn.net/thumb/R75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2FyPn6f%2FbtrLMyKzjxd%2FwBuBzQecEpgTN0NC9AEctK%2Fimg.jpg)
[JS] 배열의 메서드 findIndex 이해하기
findIndex 이해하기 findIndex란? 순서도(플로우 차트) 예시 findIndex란? findIndex란 앞서 배운 find와 동일합니다. 차이는 조건을 참으로 만족시키는 요소를 반환하는 것이 아닌 그 요소의 index값을 반환합니다. 만약 모든 요소가 조건을 만족시키지 못한다면 -1을 반환합니다. 말 그대로 index 값을 찾을 때 사용하는 메서드입니다. arr.findIndex((매개변수)=>{ 실행할 내용 return 조건; }); 1. 배열의 첫 번째 요소를 매개변수로 입력합니다. 2. 실행할 내용을 실행합니다. 3. 조건이 참이면 조건을 만족시킨 배열의 요소의 index값을 반환합니다. 4. 조건이 거짓이면 배열의 다음 index의 요소를 매개변수로 입력합니다. 5. 조건이 참이 되거..
![[JS] 배열의 메서드 find 이해하기](https://img1.daumcdn.net/thumb/R75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2Fb4Pjiy%2FbtrLOgo43Fg%2F5QTWssLXZ4xyquFeGEr50k%2Fimg.jpg)
[JS] 배열의 메서드 find 이해하기
find 이해하기 find란? 순서도(플로우 차트) 예시 find란? find는 forEach처럼 배열이 가진 요소를 하나씩 매개변수의 값으로 입력하여 실행할 내용을 반복 실행합니다. 반환할 조건이 true가 된다면 반복을 종료하고 조건이 참이 되게 한 배열의 요소를 반환합니다. 배열의 모든 요소가 조건에 대하여 거짓이라면 반환하는 값은 없습니다. 주로 사용되는 곳은 배열에 특정한 요소가 있는지 확인할 때 사용하게 됩니다. 배열 명.find((매개변수)=>{ 실행할 내용; return 조건; }); 1. 배열의 첫 번째 요소를 매개변수로 입력합니다. 2. 실행할 내용을 실행합니다. 3. 조건이 참이면 조건을 만족시킨 배열의 요소를 반환합니다. 4. 조건이 거짓이면 배열의 다음 index의 요소를 매개변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