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영어 공부] unfamiliar을 이용한 영어 작문 (낯선)

    [영어 공부] unfamiliar을 이용한 영어 작문 (낯선)

    '대부분의 사람들은 낯선 환경에 대해 경계심을 품고 있다.'를 영어로 작문한다면?! 책 '누가 내 치즈를 옮겼을까?' 중에서. 번역기 : Most people are wary of unfamiliar environments. 작문 : Many people have an alert mind about strange environment. unfamiliar을 '낯선'이라는 뜻으로 사용하였습니다. '낯선'이라는 표현을 strange라고 생각하였지만 familiar의 반의어인 unfamiliar이 '낯선'이란 의미를 가지고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대부분이라는 표현도 많이들 most라는 것을 아시겠지만 작문을 하려니 떠오르지 않아 many로 대체하였으며 경계심 또한 alert를 이용하여 alert min..

    [영어 공부] inevitably를 이용한 영어 작문 (불가피하게)

    [영어 공부] inevitably를 이용한 영어 작문 (불가피하게)

    '같은 태도는 결국 같은 결과를 가져올 수밖에 없다.'를 영어로 작문한다면?! 책 '누가 내 치즈를 옮겼을까?' 중에서. 번역기 : The same attitude inevitably leads to the same result. 작문 : Same attitude come with same result. inevitably를 '불가피하게'라는 뜻으로 사용하였습니다. '~할 수 밖에 없다.'라는 표현을 몰랐습니다. inevitably라는 표현이 '불가피하게'라는 표현으로 사용된다는 것을 처음 알았습니다. 부사이므로 문장의 어디에나 올 수 있으므로 same attitude가 '불가피하게 이끈다.'라는 표현으로 inevitably leads로 사용되었습니다. 어떠한 것을 이끄느냐는 to 뒤의 내용으로 오게 되..

    [영어 공부] put off를 이용한 영어 작문(미루다.)

    [영어 공부] put off를 이용한 영어 작문(미루다.)

    '미루어두었던 일들을 다시 시작해봐야겠어'를 영어로 작문한다면?! 책 '누가 내 치즈를 옮겼을까?' 중에서. 번역기 : I need to start doing things that I put off. 작문 : I should start to the things that I delayed. put off를 '미루다.'라는 뜻으로 사용하였습니다. '미루다.'라는 뜻은 delay가 익숙합니다. 하지만 늘 표현은 다양하기 때문에 put off라는 표현도 기억해둔다면 상황에 따라 문장을 자연스럽게 구사할 수 있을 것입니다. '해야 한다.'라는 표현도 have to, must, should 등이 있지만 이번에는 need to가 사용되었듯 다양한 표현은 알아둘수록 좋습니다. 번역의 경우 start doing으로 st..

    [영어 공부] adapt를 이용한 영어 작문 (적응하다.)

    [영어 공부] adapt를 이용한 영어 작문 (적응하다.)

    '변화에 적응하려 노력하기보다는 변화를 주도하는 것이 낫다.'를 영어로 작문한다면?! 책 '누가 내 치즈를 옮겼을까?' 중에서. 번역기 : It is better to lead change than to try to adapt to it. 작문 : Lead is better than effort to adapt about change. adapt를 '적응하다.'라는 뜻으로 사용하였습니다. '적응하다.'라는 영어 표현을 adapt로 알고 있었지만 변화에 적응한다는 표현을 about을 이용하여 '~에 대하여 적응하다.'라고 생각하여 about이 왔지만 to를 이용하여 '~에 적응하다.'라는 표현이 되었습니다. 이끄는 것과 노력하는 것은 동사이므로 단순히 lead is better보다 it to를 이용해 가주..